[뉴스워치] 세계 7대 우주강국 실현…이종호 과기부 장관에 듣는다<br /><br /><br />우주강국의 꿈을 실은 누리호 3차 발사가 이번주로 바짝 다가왔습니다.<br /><br />발사를 위한 막바지 준비가 한창 진행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우주강국의 꿈을 이루기 위해 연말까지 한국판 나사인 KASA의 설립을 위한 준비에도 들어갔죠.<br /><br />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모시고 자세한 얘기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.<br /><br /> 누리호와 다누리의 성공을 통해서 우리나라도 우주시대에 바짝 다가선 느낌인데요. 바로 이번주에 누리호 3차 발사가 예정돼 있습니다. 발사 준비는 잘 되고 있나요?<br /><br /> 이번 누리호 3차 발사의 핵심은 바로 실용위성 8개가 탑재됐다는 건데요. 지난 2차 때까지는 실전을 위한 준비단계였다면 이번에는 그야말로 손님을 싣고 우주로 간다는 의미가 있다고 하는데요. 어떤 위성들이 탑재가 되는 것일까요?<br /><br /> 7대 우주 강국의 꿈이 실현되려면 기술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할 텐데요. 미국이나 일본 등 우주 선진국에 비해서는 뒤쳐져 있는데, 독자 기술 확보를 위해 이번 발사가 의미를 지니는 것이죠?<br /><br /> 이번 발사의 또다른 특징이 민간기업도 참여한다는 건데요. 우리도 미국의 '스페이스X'처럼 민간기업의 우주시대가 열린다는 의미로 들리는데, 이른바 체계종합기업은 어떤 역할을 하기 되는 건가요?<br /><br /> 우리나라도 2030년 달궤도 위성 발사, 2023년에는 달착륙선 개발 등의 목표를 가지고 있는데요. 그러면 갈 수 있는 발사체 기술도 확보해야 하지 않습니까. 스페이스X의 경우 화성탐사 계획용 발사체를 개발하고 있는데, 우리의 차세대 우주발사체 개발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?<br /><br /> 우주 선진국 하면 미국이고, 그 중심에 미 항공우주국, 나사가 있지 않습니까. 이번 대통령 미국 순방 때 나사의 고다드센터를 방문했는데,다양한 협력 방안들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분위기는 어땠습니까.<br /><br /> 그런데, 우리나라는 발사체를 쏠 때마다 미국의 허가를 받아야 했잖아요. 미국 기술이 들어간 위성 부품 수출통제정책 때문인데, 이번 방미때 완화됐다는 소식이 있더라고요. 국내 발사서비스 시장 진출에 미칠 영향은 어떻게 될까요?<br /><br /> 나사와 협력하려면 우리도 우주항공청, KASA 설립을 서둘러야 한다는 얘기도 있는데요.<br /><br />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양자와 바이오 분야 협력이, 또 얼마 전 12년만에 셔틀외교 형식으로 진행된 한일정상회담에서는 과학기술·ICT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는데, 어떤 협력 계획을 가지고 계신가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